올인티비를 검색하세요.
Banner
Menu
Banner
...
menu
관리자 호출

Grade icon

plus
plus
최신 게시글
자유
뉴스
안구정화
하이라이트
자유게시판

두달전에 창설한 우리나라 대양해군의 기동함대사령부를 기사화 시킨 중국 언론.

author profile image

전북셀로나

2025. 4. 9. 오전 6:59:11

photo

https://m.sohu.com/a/859773206_120649655/?pvid=000115_3w_a

photo
韩国成立机动舰队司令部 配备14艘大型舰艇 向蓝水海军又迈进一步_大王_级驱逐舰_弹道导弹

“正祖大王”级驱逐舰拥有88个垂直发射系统单元,虽然少于“世宗大王”级的128个,但配备了用于弹道导弹防御的SM-3和SM-6导弹,并集成了韩国自主研发的新型垂直发射系统KVLS-II,能够发射弹道导弹,打…

m.sohu.com

지난 2025년 2월 3일, 한국 해군이 공식적으로 제7기동함대의 확대 편성을 마쳤음을 선언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동함대사령부가 한국해군작전사령부 예하로 편성되어 해안 통신선 방어, 북한의 위협에 대한 대비 태세를 유지하기 위한 다국적 해군 전력 전개, 림팩 훈련 참여 등이 주된 임무이다.

이번에 창설된 기동함대사령부는 한국 해군의 가장 강력한 중추로서 한국 해군을 대양 해군으로 이끄는 주력 함대이다.

photo

현재 새로운 기동함대는 14척의 군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3개의 전투전대(71, 72, 73 기동전대), 1개의 보급전대(77보급전대), 1개의 기지전대(제주기지전대)로 구성되어 있다.

전투전대는 1척의 정조대왕급 구축함, 3척의 세종대왕급 구축함, 6척의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급전대는 소양급 신속전투지원함 1척과 천지급 신속전투지원함 3척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주기지전대는 해안의 기지 방어와 지원 임무들을 담당한다.

훗날 한국이 독자 개발 및 건조한 KDDX 구축함 6척이 기동함대에 통합될 예정이다.

photo
photo

한편 최근 취역한 한국의 정조대왕함은 현재 기동함대사령부의 기함으로서 북한의 SLBM 요격과 적의 잠수함들을 상정하고 훈련을 수행했다.

이번 훈련에서 정조대왕급 구축함의 새로운 탄도 미사일 탐지 및 요격 역량뿐 아니라 신형 가변 심도 소나를 통해 향상된 대잠전 역량도 시험했다.

photo

정조대왕 구축함(DDG-995)

정조대왕급 구축함은 한국 해군에 의해 독자적으로 설계되고 건조된 이지스 구축함으로 경하배수량은 8200톤, 만재배수량은 12000톤, 길이는 170m, 폭은 21.4m에 달한다.

해당 구축함은 현재 기동함대의 중요한 자산으로서 더욱 강력한 탄도 미사일을 포함한 방공 탐지 역량에 요격 역량까지 보유하여 전략적 가치가 극도로 높다.

photo

정조대왕함(DDG-995)은 정조대왕급 구축함 1번함으로 2, 3번함이 실전 배치되면 모두 각 전투전대의 중추를 맡게 될 것이고, 각 전투전대는 정조대왕급 구축함 1척, 세종대왕급 1척,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2척을 보유하게 된다.

photo

정조대왕급 구축함은 88개의 수직발사체계를 보유했다. 비록 128개의 발사관을 보유한 세종대왕급보다 숫자는 적어졌지만 탄도 미사일 방어를 위한 SM-3, SM-6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신형 수직 발사 체계인 KVLS-2도 해당 구축함에 통합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여 적의 주요 지상, 지하 목표물들을 타격할 수 있다.

photo

KVLS-2 수직 발사 체계

그러나 정조대왕급 구축함은 줄어든 수직발사관의 숫자와 지상 공격 역량을 우선시한 특성으로 인해 세종대왕급 구축함들과 비교하면 방공 역량이 약해졌다.

그러므로 향후 정조대왕급 구축함들은 함대 방공보다 지상에 대한 정밀 또는 전략적 타격 임무에 치중하게 될 것이다.

4줄 요약.

1) 한국이 제7기동함대를 확대 편성한 기동함대사령부를 창설하여 대양 해군에 한 걸음 더 나아갔다.

2) 한국의 기동함대사령부는 한국 해군의 주력으로서 해안선 방어와 외국 해군과의 연계를 주로 담당할 것이다.

3) 현재 기동함대사령부의 기함은 최신 구축함인 정조대왕함이고, 향후 KDDX 6척도 합류할 계획이다.

4) 기동함대사령부 소속 전투함대들의 정조대왕급 구축함들은 주로 지상 타격을, 세종대왕급 구축함들은 주로 방공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author profile image

후빵언

2025. 8. 2. 오전 3:32:12

emoji

author profile image

선데이즈

2025. 8. 2. 오전 3:32:12

emoji

author profile image

회심의막폴

2025. 8. 2. 오전 3:32:12

emoji

author profile image

아방가르드픽

2025. 8. 2. 오전 3:32:12

emoji

author profile image

별해

2025. 8. 2. 오전 3:32:12

emoji

<1>
emojiemojiemojiemojiemoji
게시글 목록 보기

실시간 전세계에서 몰리는 경기 순위
순위
선호도
경기일시
home
분석핏
home
스포츠중계
home
채팅
home
메뉴
...
menu

Grade icon

plus
plus







ESPNYouTubeFacebookInstagram위키피디아X아마존MARCA